대학언론인 콘퍼런스

대학언론의 위기 극복을 위한 ‘연대'

1992년 ‘대학언론의 위기’ 현상이 처음 보도된 후 30년이 지났습니다. 편집권 침해, 예산 감축, 인력난, 불안정한 운영, 독자의 무관심 등 많은 문제로 인해
자생력을 상실한 대학언론이 갈수록 늘어났고 이미 문을 닫은 곳도 많습니다.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현직 대학 언론인들의 지혜를 모으고자 합니다.

□명칭: 2025 대학언론인 콘퍼런스: 연대


□주최: 대학언론인 네트워크, 대학알리

□주관: 대학언론인 콘퍼런스 사무국

□후원: 한국대학신문, 프레시안

□집행: 대학언론인 콘퍼런스 사무국


□일시: 2025년 2월 8일(토) 11:00~18:10

□장소: 성균관대학교 서울캠퍼스


□참여자 혜택: 참가비 무료, 참여증서 제공, 수도권 외 참여자 선착순 10명에게 교통비 5만 원 지원 등

□참여자 구성: 교수, 간사, 조교, 학생기자 등 대학언론인 최대 100명

□신청: 온라인 신청(구글 폼) https://univjournalist.com/100


□메일: univjournalist@gmail.com(대학언론인 네트워크)

□전화: 유정민 대학언론인 콘퍼런스 사무국장(010-2088-5722)

주최·주관

후원

1부

시간내용프로그램
11:00~11:30 (30)
개회

오프닝 영상

개회사 – 정우영 성대신문 편집국장

 축사 – 

 기념 촬영

11:30~12:10 (40)발제

발제1. ‘어쩌다 대학 언론인’ (20’)

발제2. 대학언론 위기; ‘나는 00까지 해봤다’ (20’) - 김봄이 경기대신문 편집국장

12:10~12:30 (20)Q&A질의응답
12:30~14:00 (90)휴식 및 점심점심 식사
14:00~16:00 (120)주제별
라운드
테이블

■ 토의 주제

1. 대학언론과 기성언론과의 차이점

2. 대학언론과 학업 병행하는 법

3. 취재 잘하는 법

4. 취재원 확보 및 관계 유지법 

5. 데스킹 보는 법 

6. 대학언론 홈페이지 및 소셜미디어 활용법

7. 대학언론인에게 필요한 교육 구축법

8. 자금 부족 문제 해결 및 운영법

9. 내가 소속된 언론사가 살아있어야 하는 이유

10. 대학언론 내 보도윤리 구축법

16:00~17:00 (70)토의
결과
발표

토의 결과 발표 (위기 원인과 솔루션)

관계자 질의응답 및 토의 종합

17:10~17:55 (45)토론

■ 대학언론 비전 발표회

∘ 패널: 기하늘 대학알리 대표

∘ 패널: 원지현 대학언론인네트워크 의장

사회: 유정민 콘퍼런스 사무국장

17:55~18:05 (10)선서

마무리
대학언론인 사명 선서 및 마무리


'2024 대학언론인 콘퍼런스: 불씨' 성료 (결과 및 정산보고 + 하이라이트 및 풀녹화 영상)

대학언론인 네트워크
2024-01-29
조회수 634

'2024 대학언론인 콘퍼런스: 불씨'가 180여명(누적 270여명)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 13일 마무리됐습니다. 요약, 설명, 기록영상, 언론보도, 설문, 예산, 기획안 등이 포함된 국문, 영문 결과보고서를 남깁니다.

하이라이트 영상과 전야제 풀녹화, 1-2일차 풀녹화 영상도 함께 아카이브 합니다. 하이라이트 영상은 이승환 쿠키뉴스 영상팀장이 촬영을, 한지훈 대학알리 PD가 편집을 도와주셨습니다. 풀녹화 영상의 경우 생중계 장비의 오류로 인해 화면이 안 나오고 음성만 나오는 부분이 더러 있습니다. 양해 부탁드립니다.